<aside>
💡 논제
- 실제 사례를 중심으로 인공지능(AI)의 창작 과정을 알아보고, 이 과정에서 필요한 요소와 관련 기술에 대하여 정리해보자.
- 인공지능(AI)에 의한 창작물이 인류 사회에 어떤 영향을 미칠지, 긍정적인 면과 부정적인 면을 모두 고려하여 대응방안을 제시하시오.
- 인공지능(AI)에 의한 창작물, 그 저작권은 과연 누구에게 있을지 자신의 주장을 논하시오
</aside>
<aside>
<img src="/icons/drafts_red.svg" alt="/icons/drafts_red.svg" width="40px" /> 실제 사례 중심으로 인공지능의 창작 과정 조사
01. 실제 사례 분야
- 현재, AI 기술을 활용한 창작물을 제작하는 분야는 영상 분야에 대해 널리 사용되고 있다.
특히 광고 업계의 CF 제작 과정에서 인공지능을 활용한 영상 요소를 생성하는데 있어 기업들은 실제로 인공지능을 효율적으로 사용하고 있다.
- 비단, 기업 뿐만 아니라 개인 대상의 영상 창작자들 또한 인공지능을 활용한 영상을 제작하고 있다.
계산고등학교도 교내 축제에 사용되는 음악과 교내 동아리 활동 영상을 제작하는 데 있어 AI 편집 플랫폼인 Vrew를 사용하였다.
02. 창작 과정
- 사용자가 인공지능 플랫폼에 창작물의 구성 요소를 입력하고 난 뒤에, 인공지능 플랫폼은 자체적으로 학습한 데이터를 바탕으로 사용자에게 창작물을 제작한다.
03. 관련 기술
- 자동화 편집 기술: 사용자가 요구한 구성 요소를 창작하는 능력과 창작한 요소를 자체적으로 판단하고 편집하는 데 있어 자동화 기술이 사용된다.
</aside>
<aside>
<img src="/icons/drafts_red.svg" alt="/icons/drafts_red.svg" width="40px" /> 인공지능 창작물이 인류 사회에 미칠 영향
01. 긍정적인 면
- 인간의 능력으로 창출해낼 수 없는 기술을 활용하는 데 있어, 인공지능은 인간의 능력 그 이상으로 창작물을 제작할 수 있기 때문에 영상학적의 관점에서 한층 더 발전할 수 있는 계기가 될 수 있다.
02. 부정적인 면
- 인간은 한 창작물을 제작하는 데 있어, 오랜 시간을 소비해야 하지만 인공지능은 그렇지 않다. 인공지능이 창작물을 발생시키는 소요 시간은 한 시간을 넘지 않는다. 이러한 점에 기인하여 인간이 하나의 창작물을 제작하는 동안, 비교적 인공지능 플랫폼을 이용한 작품 창작은 수 백 개에 이를 수 있다. 이런 상황에서 인공지능 플랫폼은 그저 양산형 인공지능 모델에 역할 할 수 있으며, 인공지능에게 저작권을 부여하게 된다면 인간의 창작성 인정 또한 큰 어려움을 겪을 수 있다.
</aside>
<aside>
<img src="/icons/drafts_red.svg" alt="/icons/drafts_red.svg" width="40px" /> 창작물의 저작권은 누구에게 있는가?
창작물의 저작권은 창작자에게 있다.
→ 현행법상 인공지능은 창작물에 대한 저작권자로 인정받을 수 없다. 저작권법에서 저작권의 대상인 저작물을 '인간의 사상 또는 감정을 표현한 창작물'로 규정하고 있기 때문이다.
</aside>
- 포스터 제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