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side> 💡 논제
실제 사례 중심으로 인공지능의 창작 과정 조사
01. 실제 사례
오늘날 대표적인 인공지능 화가로는 구글이 탄생시킨 '딥드림(Deep Dream)'이 있다. 구글의 딥드림은 인간의 뇌에서 정보를 보내는 신경망을 모방한 '인공 신경망 (neural network)'을 통해 수많은 이미지를 인식 및 저장하고, 이 이미지의 특징들을 추출해 시각화한다. 그결과물이 마치 꿈을 꾸는 듯 추상적이라고 해서 '딥드림'이라는 이름이 붙여졌다. 알파고를 개발한 구글의 인공지능 화가는 똑같은 형태가패턴을 이루면서 끝없이 되풀이되는 '프랙탈(fractal)' 구조를 활용해 그림을 그린다. '" 그리고 예술계의 뜨거운 관심을 반영하듯 지금까지 딥드림이 그린 작품 29점은 2016년 2월 샌프란시스코 미술 경매에서 총 9만7000달러(한화로 약 1억1000만 원)에 모두 팔렸다
02. 창작 과정
03. 관련 기술
Neural Style Transfer(이하 NST) 신경망을 이용한 스타일 전이로서 알고리즘은 2015년 Leon에 의해 소개되었다. 이 방법은 이미지에서 스타일과 콘텐츠를 분리하고 이미지들을 재 결합하면서 새로운 이미지를 창작하는데 사용한다. 이 혁신적인 방법은 많은 연구를 통해서 다양한 응용방법이 나타났다. NST는 자동으로 사진 및 화풍 이미지를 변화시키고 새로운 이미지를 생성하는데 폭 넓게 쓰였다.
01. 긍정적인 면
인공지능 창작물은 창의성을 촉진하여 예술의 다양성과 접근성을 증진시킵니다. 또한 반복적인 작업을 자동화하여 예술가들이 더 많은 시간을 창작에 투자할 수 있게 합니다.
02. 부정적인 면
<aside> <img src="/icons/drafts_red.svg" alt="/icons/drafts_red.svg" width="40px" /> 창작물의 저작권은 누구에게 있는가?
</aside>